북한, 러시아와 손잡고 핵폭탄 훈련 시작

 


중국이 대만과 한반도에서의 미국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 미국 동맹 네트워크의 방어 개입 가능성에 대해 한국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는 이 지역 전략 구도의 중요한 요소이다. 9 “양면 전쟁”에 대한 우려는 한국이 대만 해협에서의 중국의 도발적 행동을 비판하는 데 신중해지게 만들 수 있다. 10


그러나 김일성은 전쟁 초기 계획과 작전에서 베이징을 배제했으며, 오직 유엔군이 조선인민군을 격퇴하고 38선을 넘어 북진한 이후에야 중국에 전쟁 개입을 요청하였다. 미군이 압록강으로 접근하는 위협은 마오쩌둥이 중공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어 이른바 “항미원조전쟁”을 시작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의 개입은 김일성 정권을 붕괴 위기에서 구했지만, 전쟁 수행에 있어 중조 양국 지도부 간에 반복적인 갈등이 있었다. 중국의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펑더화이는 신속히 군사 작전과 북한 철도 시스템을 장악했고, 비공식적으로 북한의 군사 지휘를 “지극히 유치하다”고 혹평했다. 11 김일성은 훗날, 유엔군이 중국군의 진격 앞에서 퇴각하던 시기에 펑더화이가 재빨리 38선 남쪽으로 진격하지 않은 것을 통일과 승리의 기회를 잃은 것으로 비판했다. 12


중국은 인민지원군을 통해 장기화된 정전 협상에 참여하였고, 북한 및 유엔군 사령부와 함께 주요 협상 당사자가 되었다.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된 후에도 중국은 1958년까지 북한에 대규모 병력을 주둔시켰다. 소련과 동유럽 위성국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은 전후 북한 재건을 위해 막대한 원조를 제공했으며, “지원군”은 중요한 무상 노동력으로 활용되었다. 13


그러나 정전협정 체결 이후 수년 동안, 북한 내부의 선전은 전쟁에서 중국의 공헌을 점차 축소하였다. 이는 인민지원군이 전쟁의 판도를 바꾸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막대한 희생(마오쩌둥의 장남 전사 포함)을 치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 1955년 평양 주재 소련 외교관들은 이미 “조선 동지들은 중국의 원조와 그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지원군이 미국의 개입에 맞서 싸운 공헌을 경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14 북한이 김일성의 업적과 상징을 중심으로 신화적 역사 서사를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외국의 기여는 점차 배경으로 밀려났다.


Post a Comment

Previous Post Next Post